금융공부스타터 GGS

[한경]HMM 메자닌, 대량 장내 매도…주가 반등에 걸림돌 되나 본문

경제신문

[한경]HMM 메자닌, 대량 장내 매도…주가 반등에 걸림돌 되나

SIMON.AHN 2021. 4. 1. 16:09

 

 

 

안녕하세요 !

경제신문읽는 Simon입니다.

 

오늘 기사는 HMM(현대상선)에 관한 내용입니다!

관련 주주분들은 유심히 블로그와 기사내용을

살펴봐주시기 바랍니다 !!

 

특히 오늘은

이름부터 생소한

"메자닌(Mezzanine)"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드려 볼 계획입니다 :)

 

먼저 기사의 내용은

HMM이 메자닌을 대량 장내 매도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작년 12월에 발행한 2400억원 어치의

CB(전환사채)를 공모로 발행습니다.

 

이 가운데 약 1000만주에 대한 주식 전환 신청이

지난 3월 1~15일에 접수됐고, 이는 31일 주주의 계좌에

입고됐습니다.

 

하지만 해당 주식은 29일부터 매도가

가능하여 직전 2거래일 간 매도물량이 쏟아져

아래처럼 주가를 끌어내린 것이라고 합니다.

 

 

 

 

 

물론 하락요인에는 이 뿐만 아니라,

수에즈 운하에 좌초되었던 에버기븐(Ever Given)호 인양이

예상보다 빠르게 수습되면서

주가 상승 기대감이 하락한 이유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오늘의 핵심은 바로

"메자닌(Mezzanine)"입니다.

 

 

도대체 메자닌이 뭐길래

주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걸까?

 

먼저 메자닌(Mezzanine)은 이탈리아어로

건물의 1층과 2층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는데,

 

대표적인 위험자산인 주식과 안전자산인 채권

사이 중간 정도의 위험도와 수익률을 갖는 금융상품을 의미합니다.

 

 

직접 그림...

 

위 그림과 같이 주식과 채권 사이에 있는

메자닌 금융상품은 주식과 채권의

매력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매력적인

투자자산으로도 여겨집니다.

 

대표적인 메자닌 투자자산은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전환사채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정의는

지난 포스팅에 정리해두었기 때문에

간단히 정리만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먼저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한 기업의 주식을 일정 양 만큼

약정된 가격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2개의 신주인수권부사채를 갖고 있고,

권리행사가격이 5,000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현재 주가가 5,500원이라면 권리를 행사하여

5,000원에 해당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권리를 행사하면 500원의 차익이 남겠죠?

 

전환사채는 

정해진 전환기간이 지나면 해당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입니다.

이 역시 전환가격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주가가 정해진 가격을 웃돌 경우,

권리를 행사하여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여

매도를 할 수 있는 것이죠.

 

관련 내용은 지난 포스팅에

설명해둔 것이 있어서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위에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HMM은 작년 12월 1868만주(2400억원 어치)의 전환사채를 발행했고

발행당시 설정한 전환가액은 1만2850원이었습니다.

현재(4월1일 종가 기준) 주가가 2만7800원임을 감안하면

전환 후 팔고 싶은 욕구가 아주 강하겠죠??

 

이에따라 매도 물량이 나오게 된 것입니다.

 

게다가 오는 6월에 만기를 맞는

산업은행 발행 전환 가능 주식 수가 무려 6000만 주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는 기존 유통 주식 수의 18.4%나 되는 물량이라고 하네요.

 

만약 이를 모두 전환한다면 혹은 전환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면

HMM의 주가는 더욱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3313182i

 

HMM 메자닌, 대량 장내 매도…주가 반등에 걸림돌 되나

HMM 메자닌, 대량 장내 매도…주가 반등에 걸림돌 되나, 양병훈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ggstarter.tistory.com/6

 

[금융 상품] 교환사채와 전환사채란?

안녕하세요 ! GGS의 Simon입니다. 오늘은 조금은 다른 정보를 가지고 와봤습니다. 교환사채(Exchangeable Bond)와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그리고 신주인수권부사채(Bond with Warrant)입니다. 어떤 차이점이..

ggstarter.tistory.com

 

Comments